혼웹으로 발매된 DX초합금 마크로스 VF-1D & 팬레이서입니다. 팬레이서가 모형화된 것은 드문 일이라 박스에서도 펜레이서가 상당히 강조되어 있네요. ㅎㅎ

VF-1 시리즈는 파일롯, 컬러링, 헤드 등만 다른 경우가 많아서 블리스터에서 구성은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VF-1D는 복좌형 사출 시트, 린 민메이 피규어, 팬 레이서 등의 차별점이 더 있어서 블리스터 구성도 다릅니다.

기존 TV판 둥근 손, 무비 판 각진 손 외에도 린 민메이를 잡을 수 있는 TV판 둥근 손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각진 손은 소체에 달린 것이 가동 손이라서 린 민메이는 그것으로 잡으면 됩니다. 그 외에 팬 레이서 전용 스탠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행기 형태인 파이터 모드입니다. VF-1D는 훈련용 컬러링과 탠덤형 복좌 콕핏이 특징입니다. 그 외에는 다른 VF-1과 같습니다. 아르카디아 VF-1에 비해서 큰 1/48 스케일이라서 디테일이 더 뛰어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르카디아는 프리미엄 피니쉬 한정판을 사야지만 데칼들이 탄포 인쇄되어 있는데 DX초합금은 기본적으로 되어 있어서 개이득인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발키리의 꽃이라고 생각하는 거워크 모드입니다. 

손에 쥐고 있는 것은 린 민메이입니다. 탠덤형 콕핏이지만 뒷좌석에 태울 린 민메이는 없고 손에 쥘 수 있는 피규어만 있다는 점은 매우 아쉽습니다. 애니에서는 VF-1D가 파손되어 콕핏 부위만 분리하여 로이 포커기 팔에 매달려가지만, DX초합금 라인에서는 콕핏 부위 분리가 되지 않습니다. VF-1D는 살짝 기대했는데 그런 기믹 추가는 없네요. ㅋ

베트로이드 모드입니다. 헤드가 다른 VF-1과는 다릅니다. 허리 부위가 구부러지는 가동은 되지 않지만 그 외 부위 가동이 좋은 편입니다.

팬레이서입니다. 아쉽게도 랜딩기어 구현은 전혀 없습니다. 탈부착조차도. 하지만 본체 자체가 그냥 내려놔도 균형은 잘 맞습니다. 작은 크기에 비해서 디테일은 좋습니다.

파일롯은 VF-1과 공용입니다. 파일롯 포즈가 VF-1에 맞춰져있어서 팬레이서 탑승 시 어색합니다. 오른손의 조종간 잡는 포즈도 VF-1에는 맞지만, 팬레이서에서는 전혀 동떨어진 위치입니다. 팬레이서 전용 파일롯 피규어가 따로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스탠드는 괜찮습니다. 각도 조절도 다양하게 가능합니다.

로켓 부스터는 분리가 됩니다. 로켓 부스터 자체 안쪽은 골다공증이 있어서 좀 실망스럽습니다. 뒷면 안쪽의 더블 팬은 개별 가동됩니다. 

초합금DX 마크로스 라인의 기본은 하지만, 팬덤형 콕핏인데도 린 민메이의 탑승 피규어도 없고, 히카루 피규어도 팬레이서에는 잘 맞지 않은 점도 좀 실망스럽네요. 팬레이서의 랜딩기어 구현, VF-1D의 콕핏 분리 기믹 구형 등을 바란 것은 너무 큰 기대였나봐요. oTL

파이널 판타지 7의 히로인 중 한명인 에어리스 게인즈버러 리메이크 버전. 소체의 비율은 만족스럽고 디테일도 좋은 편이다. 목걸이는 소체에 양각으로 되어 도색되어 있는 방식이다. 메이커에서 밝히는 스케일은 없는 것으로 알고 약 8, 9인치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 정도 스케일이면 목걸이 정도는 조형으로 처리해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긴하다.

크라이시스 코어 버전 에어리스와 비교. 확실히 디테일과 품질이 더 좋아지는 것은 느껴진다. 그런데 같은 캐릭터, 같은 시리즈인데 키가 왜 더 커진지는 의문. 제발 같은 라인업이면 스케일은 맞춰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FF7 리메이크 주인공 3인방 비교. 티파는 왜 혼자 큰지 모르겠다. 티파가 에어리스보다 살짝 크지만 피규어 스케일에서는 거의 똑같아야 정상인데. 클라우드 버전2처럼 티파 버전2 제대로 다시 나왔으면... oTL

얼굴은 기본 미소 표정 외 무표정, 감은 눈 헤드가 두개 더 들어있다. 헤드와 앞머리는 일체형인데 조형이 전부 동일하다. 앞머리도 분리형에 조형도 여러 베리에이션으로 만들어줬으면 좋겠지만 이건 플레이아츠Kai니까 큰걸 바라면... oTL 그나마 티파에 비하면 얼굴이 괜찮은 편이라 다행으로 생각하자. T_T

추가 손은 이정도. 그외 꽃바구니와 지팡이도 들어있다. 

꽃의 디테일은 PS4의 꽃보다 훨씬 좋은 것 같다. ㅋㅋㅋ

상체 가동은 좋은 편. 상복부, 목 회전도 360도 회전 가능.

팔은 90도 이상 올라가고 어깨는 360도 회전도 가능하며 위로 올리면 어깨 간섭으로 약 80도 올라간 형상이 된다.

팔 전후 스윙은 거의 정직한 90도.

팔 상박은 360도 회전 가능. 팔은 이중관절로 완전히 접힌다. 근데 이 관절이 티파랑 공용인 것 같은데 에어리스한데는 너무 큰편이다. 그래서 관절 위아래 팔 부분이 굵어서 보기에 흉한 편이다. 팔이 얇은 편이라 볼 조인트로도 완전히 접히게도 만들 수 있었을터인데 왜 이렇게 만든 것인지... 손목 가동도 모든 방향으로 약 90도까지 가능.

치마 아랫부분과 팬티는 연질로 되어 있고 치마 앞, 뒤가 2피스로 분리되어 하복부에 붙어있는 형태라 다리 가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전후, 좌우 전부 180도로 벌려진다. 부츠도 2피스로 분리되어 전후 스윙은 살짝 가능하다. 하지만 좌우 스윙은 거의 안 되는 편이라 아쉽다. 허벅지 윗쪽에는 회전 관절이 있어서 다리가 360도 회전 가능하다. 발목도 360도 회전 가능.

무릎도 2중관절로 되어 완전히 접힌다.

생각보다 가동성이 좋아서 히어로 랜딩 자세도 무난한 편.

이하 액션샷.

꽃사세요~

1000토이즈에서 발매한 노 건즈 라이프 주인공 이누이 쥬조.  

박스는 밀봉 상태에서 아웃케이스를 벗길 수 있다. 아웃케이스를 벗기면 쥬조의 전면과 레프티가 보인다.

내용물은 단순. 소체, 레프티, 추가 손들. 종이로 된 담뱃갑과 담배. 이누이 쥬조한데 담배가 큰 의미가 있는 아이템인데 직접 접고 말아야하는 무성의는 좀 별로이다. 리볼텍 스네이크 등 6인치 담배가 조형으로 들어있던 것 같은데 가격도 비싼 녀석이 너무한 느낌. 레프티는 전선 부위만 철사로 되어 있어서 움직이고 그외 가동부위는 전무. 역시 무성의.

스케일은 1/12 (6인치). 쥬조가 키가 큰 편이라서 그런지 일반적인 피그마, 마펙스, SHF에 비하면 큰 편이고 초상가동 정도 되는 느낌이다. 비율은 괜찮고 도색도 깔끔하다. 벨트, 파우치, 총알, 뒷통수 손잡이 등 외에는 딱히 도색이 어긋날 부위도 없어보이긴 하지만. ㅋ

상체 전후 가동 범위는 좋다. 허리, 복부, 목 전부 볼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고 상의 재질이 연질이라 가동폭이 매우 넓다. 머리 뒷통수 손잡이 때문에 목 뒤로 가동이 조금 제약 받는 것 외에는 엄청난 가동. 

승모근이 두터워서 그런가 목 좌우 가동폭은 좁은 편. 허리도 좌우 스윙은 잘 안된다. 그래도 가슴, 배 사이가 좌우 스윙 폭이 넓다. 허리는 360도 회전하고 상복부와 목은 회전 범위가 넓은 편이다.

어깨는 위로 90도 정도, 뒤로 90도 정도 스윙하고 회전은 360도 자유자재로 가능. 앞으로 스윙도 꽤 되는 편. 팔 윗부분도 상체와 마찬가지로 연질이다.

팔은 거의 접혀지고 살짝 아쉬운 수준. 팔 상박, 하박이 조금씩 회전된다. 손목 관절은 통상적인 볼 조인트 방식이 아니고 볼을 팔에 꼽는 방식이라 손목에 볼이 안보이는 대신 가동폭이 매우 좁다. 외관상 장점이 있을지는 몰라도 가동이 별로라 나는 싫다. T_T

고관절 쪽 다리 가동은 매우 우수. 엉덩이가 연질이라 가동에 방해되지 않는다.

무릎은 2중관절이 아니지만, 완전히 접히고 발목의 가동폭도 넓고 발목 윗 부분은 회전 가능. 허벗지 윗부분의 관절은 360도 회전 가능. 파우치와 총알이 달린 겉 벨트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가동에 방해되지 않는다.

입도 벌릴 수 있다. 아쉽게 리볼버 부분에는 가동 기믹이 없다. 벨트 파우치도 개별 회전 가능.

아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우수한 가동이라 땅 집는 포즈 정도는 쉽고 자연스럽게 가능하다.

코트는 팔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에는 전부 철사가 들어있어서 모양을 잡을 수 있다. 잘 보이지 않는 안쪽 마감은 아쉽지만, 외관은 좋은 편.

와이어를 이용해서 코트의 포징이 가능하다.

이노이 쥬조를 만지다 보니 센티넬 FGO 버서커는 왜 그따구로 내놨는지 이해가 안간다. 버서커는 연기까지 했었는데... 이하 액션샷.

+ Recent posts